본문 바로가기

먹고 먹히는 자연은 늘 알게 모르게 먹고 먹히며 살아간다. 강한 것 같다가도 약한 여럿에게 먹히기도 하고 늘 그렇듯이 약한 것은 강한 것에게 먹힌다. 나비가 짝짓기를 하고 알을 낳지만 애벌레 때부터 새에게, 쌍살벌에게 먹힌다. 지렁이는 몸집이 자기보다 작아도 너무 작은 개미에게 꼼짝없이 먹힌다. 무당벌레는 어렵사리 어른벌레가 되었지만 진딧물을 먹으려다 개미에게 쫓겨나고 노린재에게 침을 맞고 먹힌다. 그래도 자연은 많이 먹힐수록 번식력이 강하고 강한 것은 살아남는 확률이 적어서 한편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균형을 맞추며 산다. 하지만 지금, 사람살이는 그렇지 않다. 힘들고 약한 사람은 더더욱 힘들어지고 먹는 자는 한없이 비대해져 기울고 기울어져 균형을 잃는다. 더보기
광덕산 환경교육센터 6월 4일, 광덕산 환경교육센터 개관식에 다녀왔다. 앞으로 환경교육을 짊어질 첫 단추를 끼운 셈이다. 환경문제를 문화와 마을 주민들과 함께 풀겠다는 국장과 센터장 말이 믿음직스럽다. 센터 안에 풀꽃도서관도 함께 열고 개관 기념 원화전시회도 한 달 동안 한다. 건물은 아담하고, 친환경소재인 나무, 흙벽돌, 흙으로 지었다. 전시장이나 실내도 나무나 흙벽이다. 그림을 거는 데는 조금 불편해도 따듯하다. 더보기
무당벌레 무궁화나무에 우굴 거리던 무당벌레애벌레는 다 어디로 갔을까? 무궁화나무에 진딧물이 줄어들면서 서로 잡아먹고, 개미에게 잡혀가고, 번데기마저 갉아 먹혔다. 종령애벌레가 되면서 차츰 무궁화나무를 떠났다. 옆 풀숲으로, 다른 나무로 옮겨가 번데기가 되었다. 애기똥풀에, 쇠뜨기에, 환삼덩굴에, 개망초에 멀게는 무궁화나무와 십 여 미터 떨어진 앵두나무와 국수나무까지 가서 번데기가 되었다. 하나 둘 날개돋이를 해서 무당벌레가 되어 날아간다. 하지만 날개돋이를 하다가 날개를 다쳐 날지 못하는 녀석도 있다. 날개돋이를 하다가 날개가 걸려 번데기에서 빠져나오지 못하고 죽은 녀석도 있다. 알에서 깨어나 몇 퍼센트나 무당벌레가 되어 날아갈까? 더보기